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

2024년 최저시급, 월급 계산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 월 환산 임금액은 2,010,580원이었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은 240원 인상된 9,860원으로 2023년에 비해 2.5% 인상되어 역대 2번째로 낮은 최저시급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 기준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급 환산액은 2,060,740원(9,860*209)이며 연봉환산액은 24,728,880원 입니다. 올해 역시 사업의 종류의 구분 없이 전 사업장에 동일한 최저임금이 적용됩니다. 시급으로 월급을 환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급*1주 소정근로시간*1주 근로일수*1.2(주휴수당)*4.345 다만 일반적으로 주40시간 근로자의 경우 8시간*5일*1.2*4... 2023. 9. 4.
지각비 공제와 지각한 직원의 연장근로수당은 어떻게 해야할까 사업장에서는 근로자의 지각에 대해 패널티를 규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처리방식은 근로기준법 위반의 소지가 있습니다. 1. 지각 3회 시 결근 1회로 간주한다. 2. 지각 시 지각비 5만원을 납부한다. 3. 지각 3회 시 연차휴가 1일을 사용한 것으로 한다. 근로기준법 제20조에서는 "사용자는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다." 라고 규정하고, 동법 제103조에서는 근로기준법 제20조 위반에 대해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가 근로자의 지각에 대해 임의로 지각비를 정하는 경우, 근로기준법 제20조 위반의.. 2023. 8. 3.
실업급여 지급일수(소정급여일수) 및 지급금액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하며, 고용보험법에서 인정하는 실업급여 수급사유로 퇴사하여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실업급여(구직급여) 수급조건 : 피보험단위기간, 비자발적이직사유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soonomsa.tistory.com 1. 실업급여 수급기간 : 12개월 실업급여는 이직일 다음날로부터 12개월 동안, 소정급여일수를 한도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소정급여일수가 남아있더라도 이직일 다음날로부터 12개월이 지.. 2023. 7. 20.
초단시간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의 실업급여 자격 1. 초단시간 근로자 초단시간 근로자란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자(월 소정근로시간 60시간 미만)을 말합니다. 2. 초단시간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 고용보험법 제10조 제5호 및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3조에서는 '1개월 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사람(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사람 포함)은 고용보험 가입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 다만,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3조는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하는 초단시간 근로자는 최초 입사일로 소급하여 고용보험에 가입'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초단시간 근로자의 실업급여 수급자격 초단시간 근로자는 원칙적으로 고용보험 가입대상이 아니기 때문에실업급여의 수급자격이 없습니다. 다만, 3개월 이상 근로한 .. 2023. 7. 7.